역사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 한일의정서부터 한일합병조약까지

나베평행 2023. 5. 16. 12:41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은, 1904년에 한일의정서와 제1차 한일협약, 이듬해에는 을사조약, 1907년에는 한일 신협약을 강제로 체결해 한국의 식민지화를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갔습니다. 그 밖에도 군대를 해산하고 신문지법을 제정해 일본에 대한 저항을 무력화했으며, 이른바 '남한대토벌작전'을 감행해 항일의병항쟁을 무자비하게 진압했습니다. 

메이지유신 이후 제국주의의 길에 들어서며 조선 침략을 중요한 대외정책으로 삼아왔던 일본은, 러일전쟁을 도발한 후 이를 본격화하여 결국 대한제국은 일본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침략 과정

날짜 조약이름 주요 내용
1904.2 한일의정서 전국의 군사 요지화와 시설 점령
1904.8 제1차 한일협약 일본의 고문정치 시작
1905.11 을사조약 대한제국의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1907.7   고종의 강제 퇴위
1907.7 한일신협약 일본의 차관정치 시작, 대한제국 군대 해산
1909.7 기유각서 대한제국의 사법권 박탈
1910.8 한일병합조약 국권 강탈

 

1. 한일의정서 韓日議定書

1904년 2월 22일에 일본이 대한제국에 강요하여 체결한 외교 문서입니다. 일본은 러일전쟁을 도발한 직후, 국외중립을 선언한 대한제국을 군사동맹으로 끌어넣으려고 강제로 이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모두 6개 조로 구성된 조약 내용은, 한일 양국의 친교와 동양 평화를 확립하기 위해 대한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시정 개선 충고를 용인할 것, 일본 정부는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을 보전할 것, 일본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확실히 보증할 것, 일본 정부는 대한제국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확실히 보증할 것, 제3 국의 침략이나 내란 등으로 대한제국 황실의 안녕과 영토의 보전에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일본 정부는 필요한 조치를 취하며, 이를 위해 대한제국 정부는 충분한 편의를 제공하고, 일본 정부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군 작전에 필요한 지점을 수용할 수 있을 것, 대한제국 정부와 일본 정부는 이 조약의 뜻에 위반되는 협약을 제3 국과 체결하지 말 것 등입니다.

이 조약은 일본의 한국 침략을 은폐하거나 정당화하려고 마련되었습니다. 일본은 이 조약을 구실로 해서 우리나라에 마음대로 군대를 파견하고, 군용지를 설정했으며, 의병을 탄압했습니다. 한일의정서는 그 후 일본이 우리나라와 맺은 여러 침략조약의 원형이 되었습니다.

 

 

2. 한일신협약 韓日新協約

1907년 7월에 일본이 대한제국을 강점하기 위한 예비 단계로 체결한 조약입니다. 정미 7 조약 또는 제3차 한일협약이라고도 합니다.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가 체결·조인했습니다. 그 내용은, 통감이 대한제국의 정책 시행, 법령 제정, 행정 처분, 고등관리 임면, 외국인 고빙, 일본인 관리의 임명 등 모든 내정을 간섭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 밖에 1904년 8월 22일에 체결한 이른바 제1차 한일협약에서 규정했던 고문관 임용을 폐지한다는 조항도 들어 있습니다. 이전까지 일본은 고문을 통해 대한제국의 내정을 간접 조종했으나, 이 조약 체결 뒤에는 일본인 차관을 비롯한 다수의 관리를 요직에 앉혀 대학제국의 내정을 직접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3. 한일병합조약 韓日倂合條約

1910년 8월에 대한제국의 통치권을 일본에게 넘긴 조약입니다. '경술국치(경술년의 국가 치욕)'라고도 합니다. 이 조약의 체결로 조선왕조는 27대 519년 만에 멸망했고,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했습니다.

1910년 5월 제3대 통감으로 취임한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본격적으로 한국 강점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8월 16일에 총리대신 이완용을 불러 한일병합조약의 구체안을 밀의하고, 18일에 대한제국의 각의에서 합의하게 했습니다. 그리고 22일에 순종 황제 앞에서 형식만의 어전회의를 저친 후 이완용과 데라우치가 조약을 조인했습니다. 한국민의 저항을 우려해 이 사실을 1주일간 비밀에 부쳤다가, 8월 29일에 '한일병합에 관한 조약' 조인을 공포했습니다. 일본은 마치 대한제국이 일본과 합치기를 바랐던 것과 같은 인상을 풍기려고 병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습니다. 이 조약은 전문과 8개 조로 되었는데, 전문에는 한일 양국의 행복을 증진하고 동양의 평화를 확보하려고 한국을 병합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고, 본문에는 대한제국의 황제가 한국의 통치권을 영구히 일본의 국왕에게 양여하며, 일본 국왕은 이를 수락한다는 구절이 들어 있습니다. 대한제국을 강점하게 된 일본은 조선 총독부를 설치하여 식민통치를 자행했습니다.